귀성운전 휴식은 자주자주

- TV, 라디오 등 방송을 통해 교통상황을 확인
- 눈길, 빙판 대비하여 월동장비(체인, 삽 등)및 기본공구 준비

- 119나 병원, 보험회사에 신속히 연락
- 부상자를 구출 후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여 응급처치
- 심한 부상자는 함부로 움직이지 말고 신고


- 운전 중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휴대폰 사용금지
- 2시간 마다 10분 정도 휴식, 휴식 중에는 스트레칭
-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자주 환기

멀리 떠날때, 우리집안전관리

- 가스밸브와 잠금장치 확인
- 비누방울을 이용 가스가 새는지 사전점검
- 불필요한 플러그나 콘센트, 전기코드 뽑았는지 확인


- 가스 냄새가 나는지 확인
- 창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


- 대문(현관문), 창문 등 모든 출입문 문단속 철저
- 신문, 우유 등 배달되는 것들은 연휴기간 잠시 중단

안전사고 발생시 이렇게

- 노약자·장애인석 옆에 있는 비상버튼을 눌러 승무원과 연락
- 객차마다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 진화
- 출입문이 열리지 않으면 비상용 망치나 소화기를 이용하여 유리창을 깸
- 코와 입을 손수건이나 티슈로 막고 신속히 대피
- 정전 시에는 유도등,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을 따라 대피

- 승무원의 안내에 따름
- 산소마스크가 내려올 경우 보호자가 먼저 착용하고 어린이나 노약자를 도와주기
- 안전벨트 착용 후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세 취하기

- 소화기, 비상망치, 구명조끼, 유사시 탈출로를 미리 확인
- 승무원의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탈출
- 화재가 발생하면 큰소리로 외치거나 경보기를 울려 주변사람에게 신속히 알리기


- "불이야" 라고 소리쳐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기
- 미리 파악해둔 비상구나 계단을 이용하여 신속히 대피
- 주소와 주변 큰 건물의 이름 등으로 119신고
- 수건 등을 물에 적셔 입과 코를 가리고 숨을 짧게 쉬면서 낮은 자세로 신속히 대피
- 계단이나 복도로 피난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베란다 등으로 가서 구조 요청
- 엘리베이터는 정전으로 멈추거나 질식할 우려가 있으므로 비상계단이나 완강기 이용
- 대피시 계단실의 방화문을 꼭 닫고 대피
- 비상구 등 안전시설을 갖추고 있는 업소만 이용하여 업주 스스로 안전시설을 확보하도록 합시다.

건강한 명절 나기

- 상한 음식으로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물과 이온음료를 충분히 마셔 탈수 예방
- 3~4일 이상 고열이 나면서 설사가 지속될 경우 이질 일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치료


- 깨끗한 찬물로 환부를 충분히 식힘
- 통증이 가시면 화상연고 바름
- 물집이 생겼을 때는 터뜨리지 말고 소독한 천으로 두텁게 감쌈
- 화상 정도가 심하고 얼굴에 외상을 입었을 경우 즉시 병원에서 치료


- 밤에 무리 했더라도 기상시간은 지키고 토막 잠으로 보충
- 연휴 마지막 날 일상으로 미리 귀경하여 편안한 휴식 취하기

- 환자 뒤에 서서 환자 허리둘레를 두 팔로 감싸 안는다.
- 한쪽 주먹을 다른 한손으로 감아쥐고, 안쪽 손은 엄지 쪽이 신체 정중선 배꼽 바로 위로 가게 한다.
- 안쪽 손을 환자 등 뒤와 위쪽으로 빠르게 밀어 준다.
- 복부 밀어주기는 기도폐색을 해소할 만큼 충분한 힘으로 실시한다.


재난상황실 | 1588-3650 | |
---|---|---|
화재·구조 응급환자신고 | 119 | |
상수도 고장신고 | 121 | |
전기고장신고 | 1588-7500 | |
가스사고신고 | 1544-4500 | |
미아찾기센터 | 182 | |
일기예보안내(자동안내) | 131 | |
관광정보안내 | 1330 | |
철도안내 | 1544-7788 | |
고속도로정도 | 1588-2505 |
'알아두면좋은것 > 재난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종인플루엔자 사고예방 (0) | 2013.10.07 |
---|---|
놀이시설 사고예방 (0) | 2013.10.07 |
공연.행사장 사고예방 (0) | 2013.10.07 |
낙뢰사고예방 (0) | 2013.10.07 |
산행사고예방 (0) | 2013.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