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다한 원전 줄줄이 대기...해체기술 개발 필요
핵심기술 38개 중 확보기술 17개 불과
월성1호기의 수명연장 결정으로 이후 원자력발전소들의 ‘수명연장’ 판도가 어떻게 바뀔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앞으로 지난 2007년 한 차례 수명을 연장해 오는 2017년까지 가동되는 고리1호기를 시작으로 2023년 고리2호기, 2024년 고리3호기, 2025년 고리4호기와 영광1호기, 2026년 영광2호기와 월성2호기, 2027년 울진1호기와 월성3호기, 2028년 울진2호기, 2029년 월성4호기 등 이후에 지어진 원전의 설계수명 만료일이 다가오기 때문이다.
특히 고리1호기의 경우 오는 6월까지 추가 연장을 신청해야 원안위의 심의·의결 절차를 밟을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이 높다.
때문에 하루빨리 폐로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원전 해체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이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이다. 업계는 한기 해체에 최소 20년이 소요되며, 약 6033억원의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원전폐로 기술 수준은 준비․제염․절단․철거․폐기물 처리․환경복원 등 모든 과정을 완벽하게 수행하기에 아직 부족함이 많다.
원전을 해체하기 위해서 필요한 핵심기술 38개 중 확보하고 있는 기술은 17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2019년까지 원자력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를 짓고, 총 1500억원을 투입해 2021년까지 미확보된 기술을 개발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해외 원전 선진국들의 경우, 대부분 원전 인허가가 만료되기 10년 전부터 수명연장 준비에 돌입한다.
미국은 원전의 운영 허가기간을 40년으로 하고 있으며, 이후 미국원자력규제위원회의 안전성 평가와 주민 수용성을 반영해 20년을 추가로 운영할 수 있다.
캐나다의 원전 설계수명은 30년이며, 캐나다원자력안전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2~5년간 운영허가를 갱신하고 24개월마다 계획예방정비를 실시하는 등 안전정책을 시행한다.
또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해 안전이나 설비 등 원전과 관련된 내용을 사소한 것까지 국민들과 공유하면서 신뢰를 쌓아간다.
이와 관련 원자력계 한 전문가는 “월성1호기 수명연장을 결정하면서 겪은 진통들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해외 원전 선진국가들의 앞선 결정절차들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