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량계 결국 조달청 품으로
나라장터에서 다시 구매키로
조달청이 한 번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전력량계를 다시 위탁 구매하기로 결정해 전력량계 업계에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조달청은 지난 1년간 한시적으로 예외규정을 적용해 중소기업자간 경쟁품목으로 지정된 전력량계에 대해 한전이 직접구매토록 해왔다. 전력기자재의 적기조달 등 한전의 특수성을 감안한 조치였다. 하지만 최근 원칙대로 위탁 구매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바꿨다.
이는 지난해 불거진 전력량계 담합사태가 위탁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전 입찰 시스템에 대한 불신으로 한전과 업계가 주장하는 ‘적기조달’과 ‘최저가 입찰방식’ 카드가 더 이상 먹혀들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조달청 관계자는 “지난 1년간 한전의 요청으로 전력량계 품목에 대해 예외규정을 적용해왔지만 최근 내부 검토 결과 조달청에서 다시 구매하기로 결정이 났다”면서 “당장 3월말 구매가 예정된 일부 품목을 제외하곤 앞으로 모든 전력량계는 나라장터에서 위탁 구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3월말로 예정된 E타입과 고압고객용 전자식 전력량계에 대해서만 한전이 직접 구매하고, 이후부터는 조달청으로 넘어간다.
2년 전 구매를 시도하다 제조사들의 반발에 부딪혀 실패를 맛 본 조달청으로선 이번 기회에 전력량계를 계속해서 위탁 구매한다는 심산이다.
조달청은 입찰방식과 관련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할 계획이다. 기존의 다수공급자계약(MAS)이 최저가 평가방식에 따른 출혈경쟁으로 제조사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일부 우려를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달청 관계자는 “입찰방식과 관련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면서 “연간단가 계약방식 등 다양성을 열어두고 있는 상황이며, 4월 이후 한전의 구매요청이 접수되면 그때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