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이야기/뉴스&이슈

전력량계 다시 조달청 품으로?

야광너구리 2015. 3. 9. 10:32

전력량계 담합사태 따른 한전 입찰시스템 논란 속
조달청, 기존 계속구매 여부 논의...위탁 가능성도 멍2


한전이 직접 구매하던 전력량계가 다시 조달청의 품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제기됐다. 조달청이 한전의 전력량계 계속구매 여부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한전은 최근 올해 전력량계 연간단가 구매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한전은 신규, 교체, AMI(지능형검침인프라)용 등으로 E타입 150만대, G타입 60만대, 고압 고객용(0.5급, 1.0급) 4만5000대 등 214만여대에 이르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구매할 계획이다. G타입 전자식 전력량계는 AMI 구매계획이 확정되지 않아 하반기에 발주될 예정이다.
당장 3월부터 E타입과 고압 고객용 전력량계에 대한 발주가 시작될 예정이지만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 조달청이 전력량계를 다시 위탁 구매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조달청은 2년 전 한전이 직접 구매해오던 전력량계를 중소기업자간 경쟁품목이라는 이유로 위탁구매를 추진했다. 그러나 조달청의 최저가 입찰방식을 우려한 전력량계 제조업계의 반대에 부딪혀 한전이 계속 직접 구매하도록 허용했다.
당시 조달청은 예외규정을 적용해 한전이 1년간 한시적으로 전력량계를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했고, 계속구매 여부에 대한 논의를 매년 진행하기로 했다.
조달청 관계자는 “1년의 기간이 지남에 따라 한전 측에서 전력량계를 계속해서 직접 구매할 수 있게 해달라는 요청을 보내왔다”면서 “이달 안으로 내부 심의를 거쳐 결론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 안팎에서는 조달청의 위탁구매 재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불거진 전력량계 담합사태로 인해 한전의 입찰시스템을 바라보는 시각이 긍정적이지만은 않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적정한 가격이 제시된다면 조달청에서 전력량계를 구매한다고 해도 상관없다”면서 “이번 기회에 담합 사태로 얼룩진 전력량계 업계의 정화 차원에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업계의 지배적인 분위기는 여전히 조달청의 위탁구매에 부정적이다. 문제는 제값을 받을 수 없는 조달청의 최저가 입찰제도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전력량계 가격하락은 막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업계 전체에 형성돼 있는 게 사실”이라며 “위탁구매에 따른 전력량계의 적기조달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