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이야기/뉴스&이슈

한전,지중 AMI 구축사업 시동

야광너구리 2015. 1. 16. 10:19

통신방식 검증 통해 최적의 AMI 통신 구현

 

전기신문/ 2015년 01월 08일 13:10:34  박경민 기자   pkm@electimes.com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이 AMI 통신방식 기술검증사업자 선정과 함께
 지중 AMI 구축사업에 시동을 건다
. 굿모닝3
이번 사업으로 도심 내 지중 전력공급지역과 원거리 농어촌 지역에 적용될 AMI 통신방식에 대한 본격적인 검증 작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AMI 통신방식인 광대역 PLC 통신방식은 지중과 농어촌 지역에서 원격 검침을 할 때 가끔씩 통신 성공률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번 검증사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추진됐다.
한전 측은 유럽 등 PLC 선진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국제표준 협대역 PLC방식인 G3-PLC, PRIME 방식을 채택해 국내 최초, 세계 최대 규모로 검증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무선 통신방식(Zigbee)에 대한 검증도 동시에 실시해 최적의 통신방식을 도출한다.
기술검증사업자로는 각각의 통신방식에 따라 지난해 12월 30일 4개 업체가 선정됐다. 간선망(WAN) 방식은 SKT, 인입망(NAN) 중 G3-PLC 통신방식은 한전산업개발, PRIME 방식은 한전KDN, Zigbee 방식은 넥스챌이 각각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번 사업으로 안산, 청주, 당진, 전주, 영암, 대구, 부산 등 7개 지역의 한전 사업소에 올해 2월까지 총 2만4000호 규모의 통신설비가 설치된다.
3월부터는 각각의 통신방식에 대한 종합 성능평가가 이뤄진다. 이를 통해 통신 음영지역별로 가장 경제적‧안정적인 통신방식이 도출될 전망이다.
한전은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AMI 전문가 워크숍‧사업설명회를 개최해왔다.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안정적인 통신방식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기준도 마련했다.
한전 관계자는 “앞으로 한전은 새로운 통신방식을 AMI 구축사업에 적극 활용해 2020년까지 2200만호에 달하는 전체 저압고객에 대한 AMI 구축을 차질없이 완료할 계획”이라며 “이번 기술검증사업 참여기업은 한전에게 트랙 레코드를 받을 수 있어 해외 AMI 사업에서도 활용이 가능 할 것”이라고 전했다.

용어설명
PLC(Power Line Communication) : 전기에너지 전송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전력선에 통신신호를 실어 전송하는 통신기술이다. 2~3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 통신하는 광대역 PLC와 9~490K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협대역 PLC로 구분된다.
Zigbee : 저전력, 저비용, 저속의 특징을 가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통신방식.오케이3